중성자 감속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성자 감속재는 원자로에서 핵분열 연쇄 반응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중성자의 속도를 늦추는 물질이다. 핵분열 시 발생하는 고속 중성자는 우라늄-235와 반응하기 어려우므로, 감속재를 사용하여 중성자의 에너지를 낮춰 열중성자로 만들어 핵분열 반응을 촉진한다. 이상적인 감속재는 질량이 작고, 산란 단면적이 크며, 흡수 단면적이 작아야 한다. 감속재로는 경수, 중수, 흑연, 베릴륨 등이 사용되며, 각 감속재는 원자로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경수로는 경수를, 중수로는 중수를, 흑연로는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한다. 고속 중성자로에서는 감속재를 사용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기술 - 원자로
원자로는 제어된 핵분열을 통해 열에너지를 생산하여 전기 생산, 추진 동력원, 연구 등에 활용되며, 핵분열 연쇄 반응을 제어봉과 감속재로 조절하고, 원자력 안전과 미래 기술 개발이 중요한 과제이다. - 핵기술 - 핵무기 설계
핵무기 설계는 핵분열 및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무기를 설계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핵분열성 물질의 임계 질량을 초임계 질량으로 신속하게 조립하는 다양한 방식과 고급 기술이 적용되며, 효율성 증대 및 안전성 확보, 방사능 낙진 최소화 등의 기술적·공학적 도전 과제들이 존재한다. - 원자력 - 원자력선
원자력선은 원자력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선박으로 군사적 활용은 활발하지만, 비용, 위험성, 기술적 문제로 민간 상선 활용은 제한적이며, 러시아의 쇄빙선 운용과 중국의 컨테이너선 개발 시도에도 불구하고 과거 여러 국가의 민간 원자력 선박 운용은 모두 중단되었다. - 원자력 - 원자력 잠수함
원자력 잠수함은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장기간 잠항 능력과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해양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스텔스 성능 저하, 핵폐기물 문제, 사고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중성자 감속재 | |
|---|---|
| 개요 | |
| 유형 | 물질 |
| 용도 | 핵 반응로 내의 중성자 속도 감소 |
| 상세 정보 | |
| 주요 특징 | 낮은 원자 흡수 단면적 높은 감속비 |
| 일반적인 감속재 | 경수 흑연 중수 베릴륨 |
| 감속 과정 | 중성자와 감속재 핵 사이의 탄성 충돌 |
| 최적화 | 감속 시간을 최소화하고 중성자 흡수를 줄임 |
| 감속 성능 지표 | 감속력, 감속비, 감속 시간 |
| 감속 과정 상세 | |
| 작동 원리 | 중성자가 감속재의 핵과 탄성 충돌하여 운동 에너지를 잃고 속도가 느려짐 |
| 감속 속도 | 핵의 질량에 따라 달라짐 질량이 비슷한 핵과 충돌 시 더 효과적으로 감속됨 |
| 감속재 조건 | 가벼운 핵으로 구성되어야 함 |
| 감속재 종류 | |
| 경수 | 일반적인 물 (H2O) 높은 감속력 비교적 높은 중성자 흡수율 농축 우라늄 연료에 적합 |
| 중수 | 중수소(듀테륨)로 구성된 물 (D2O) 낮은 중성자 흡수율 천연 우라늄 연료에 적합 |
| 흑연 | 탄소의 동소체 적당한 감속력 좋은 내열성 대형 원자로에 사용 |
| 베릴륨 | 가볍고 단단한 금속 우수한 감속 성능 높은 비용 특수 목적 원자로에 사용 |
| 감속 성능 평가 | |
| 감속력 (ξ) | 중성자가 한 번의 충돌로 잃는 평균 로그 에너지 감소량 |
| 감속비 | 감속력과 거시적 흡수 단면적의 비율 (높을수록 좋은 감속재) |
| 감속 시간 | 고속 중성자가 열에너지 수준으로 감속되는 데 걸리는 시간 |
| 안전 고려 사항 | |
| 방사선 차폐 | 감속재는 방사성 물질이 아니지만, 원자로 내에서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차폐가 필요함 |
| 화학적 안정성 | 고온 및 방사선 환경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함 |
| 열적 안정성 | 원자로의 작동 온도에서 안정적인 물리적 특성을 유지해야 함 |
| 감속재의 미래 | |
| 연구 방향 | 더 나은 감속 성능을 가진 새로운 재료 개발 소형화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감속재 설계 연구 |
| 활용 분야 | 핵융합로 중성자 과학 연구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
2. 원리
원자로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235U영어는 0.025 eV의 에너지를 지니는 열중성자와 잘 반응하며, 238U영어는 0.5 MeV의 에너지를 가진 중성자와 잘 반응한다. 그러나 235U영어가 핵분열을 하면 고속중성자를 배출하는데, 이 고속 중성자는 238U영어과 반응하고 235U영어와는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의 연쇄 반응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중성자의 속도를 낮추는 물질, 즉 감속재가 필요하다. 현재 사용되는 거의 모든 원자로는 열 중성자를 이용하는 원자로이다. 고속중성자로나 고속로는 노심 밖의 블랭킷 연료인 238U영어을 Pu239영어로 변경시켜 연료로 사용하므로 중성자 감속재가 필요 없다. 일반적으로 감속재로는 원자번호가 낮은 원소 및 그 화합물이 사용된다.
frame와 질량이 거의 동일하고 흡수가 없기 때문에, 두 입자 유형의 속도 분포는 단일 맥스웰-볼츠만 분포로 잘 설명될 것이다.]]
핵분열 시 발생하는 중성자선은 고속 중성자라고 불리며, 대략 1 MeV의 에너지를 갖는다. 1MeV의 중성자 속도는 초당 1.4만 km로 매우 빠르기 때문에 핵분열성 흡수를 효율적으로 일으킬 수 없다. 이러한 고속 중성자는 감속재를 통해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평균 0.025eV의 에너지를 갖는 감속된 중성자를 열 중성자라고 부른다.
등분배 정리에 따르면 평균 운동 에너지 는 온도 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여기서 는 중성자 질량, 는 평균 제곱 중성자 속도, 는 볼츠만 상수이다.[2][3] 수 MeV의 중성자에 해당하는 중성자 온도는 수십억 켈빈이다.
감속은 자유 중성자의 초기 고속(높은 운동 에너지)을 감소시키는 과정이다. 에너지가 보존되기 때문에 중성자 속도의 감소는 감속재로의 에너지 전달을 통해 일어난다. 핵에서 중성자의 산란 확률은 산란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감속재와의 처음 몇 번의 충돌은 감속재의 핵을 여기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에너지를 가질 수 있어 비탄성 충돌이 일어난다. 중성자 에너지가 낮아지면 주로 탄성 충돌이 일어나는데, 이 경우 시스템(중성자와 핵)의 총 운동 에너지와 운동량이 보존된다.
탄성 충돌의 수학을 고려하면, 중성자는 대부분의 핵에 비해 매우 가볍기 때문에 중성자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제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질량이 거의 동일한 감속 핵을 선택하는 것이다.
frame
열중성자 원자로에서 우라늄과 같은 무거운 핵연료 원자는 느린 자유 중성자를 흡수하여 불안정해지고 두 개의 작은 원자(핵분열 생성물)로 분열된다. 235U 핵분열 과정은 두 개의 분열 생성물, 2~3개의 고속 자유 중성자, 그리고 주로 분열 생성물의 운동 에너지로 나타나는 에너지를 생성한다. 자유 중성자는 각각 ~2 MeV의 운동 에너지로 방출된다. 우라늄 분열 사건에서 방출되는 자유 중성자가 이 사건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열중성자보다 많기 때문에, 통제된 조건에서 자가 유지 핵연쇄 반응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된다.
추가 분열 사건의 확률은 입사 중성자의 속도(에너지)에 따라 달라지는 분열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열 원자로의 경우, MeV 범위의 고에너지 중성자는 추가 분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 새로 방출된 고속 중성자는 광속의 약 10% 속도로 이동하며, 인접한 235U 핵에서 추가 분열을 일으켜 연쇄 반응을 계속하려면 속도를 늦춰야 한다. 일반적으로 초당 몇 킬로미터의 속도까지 감속되며, 이는 수백 섭씨 온도 범위에 해당한다.
모든 감속 원자로에서 모든 에너지 수준의 일부 중성자는 고속 중성자를 포함하여 분열을 생성한다. CANDU 원자로처럼 거의 모든 분열 반응이 열 중성자에 의해 생성되는 원자로도 있지만, 가압 경수로 (PWR)처럼 상당 부분의 분열이 고에너지 중성자에 의해 생성되는 원자로도 있다. 초임계 수 원자로는 고속 분열 비율이 50%를 초과하여 기술적으로 고속 중성자 원자로에 해당한다.
고속 원자로는 감속재를 사용하지 않고 감속되지 않은 고속 중성자에 의한 분열에 의존하여 연쇄 반응을 유지한다.
중성자 감속은 중성자가 감속재와 충돌하여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중성자는 감속재와 여러 번 충돌하며 열 중성자로 변환된다.
2. 1. 감속재의 조건
원자로에서 핵분열 연쇄 반응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중성자의 속도를 줄이는 데 사용되는 감속재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낮은 원자 질량: 중성자와의 충돌 시 에너지 전달 효율을 높여 감속 효과를 극대화한다. 중성자는 대부분의 핵에 비해 매우 가볍기 때문에, 중성자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제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질량이 거의 동일한 감속 핵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질량이 1인 중성자와 양성자(수소)의 충돌은 단 한 번의 충돌로 중성자가 거의 모든 에너지를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4]
- 높은 산란 단면적: 중성자와의 충돌 확률을 높여 감속 과정을 가속화한다.
- 낮은 흡수 단면적: 흡수 단면적이 낮아야 한다. 중성자를 흡수하여 연쇄 반응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일부 핵종은 다른 핵종보다 더 큰 흡수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 자유 중성자를 제거한다.
- 화학적 안정성: 원자로 내의 고온, 고방사선 환경에서 변형이나 손상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 낮은 가격: 경제적인 원자력 발전을 위해 감속재의 가격 경쟁력도 중요하다.
''이상적인 감속재는 질량이 작고, 산란 단면적이 높고, 흡수 단면적이 낮다''.
| 핵종 | 원자 질량 (u) | 에너지 감소 () | 충돌 횟수 |
|---|---|---|---|
| 수소 | 1 | 1 | 18 |
| 중수소 | 2 | 0.7261 | 25 |
| 베릴륨 | 9 | 0.2078 | 86 |
| 탄소 | 12 | 0.1589 | 114 |
| 산소 | 16 | 0.1209 | 150 |
| 우라늄 | 238 | 0.0084 | 2172 |
원자로에서 중성자 감속재는 핵분열 연쇄 반응을 유지하고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속재는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속 중성자의 속도를 늦춰 열 중성자로 만들어 우라늄-235와 같은 핵연료와 반응 확률을 높인다.
충분한 충돌 이후, 중성자의 속도는 열적 운동에 의해 주어진 핵의 속도와 비슷해지며, 이 중성자는 열중성자라고 불린다.[6]
3. 감속재의 종류
다양한 물질이 감속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 이상적인 감속재는 질량이 작고, 산란 단면적이 높으며, 흡수 단면적이 낮아야 한다.
다음은 감속재로 사용되는 물질들과 중성자와의 탄성 충돌 횟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 물질 | 원자 질량 (u) | 에너지 감소 () | 충돌 횟수 (n) |
|---|---|---|---|
| 수소 | 1 | 1 | 18 |
| 중수소 | 2 | 0.7261 | 25 |
| 베릴륨 | 9 | 0.2078 | 86 |
| 탄소 | 12 | 0.1589 | 114 |
| 산소 | 16 | 0.1209 | 150 |
| 우라늄 | 238 | 0.0084 | 2172 |
경수, 중수, 흑연 외에도 베릴륨, 리튬-7 등이 감속재로 사용될 수 있다. 베릴륨은 금속 형태로, 중성자 반사체로도 사용되지만, 가격이 비싸고 독성이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리튬-7은 플루오린화 리튬 염 형태로, 플루오린화 베릴륨 염 (FLiBe|에프엘아이비이영어)과 함께 용융염 원자로에서 가장 일반적인 감속재이다.
하지만, 헬륨은 기체라서 충분한 밀도를 얻기 어렵고, 리튬-6과 붕소-10은 중성자를 흡수하기 때문에 감속재로 부적합하다.
현재 가동 중인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감속재는 다음과 같다.
| 감속재 | 원자로 수 | 설계 | 국가 |
|---|---|---|---|
| 없음 (고속 중성자 원자로) | 2 | BN-600, BN-800 | 러시아 (2) |
| 흑연 | 25 | AGR, Magnox, RBMK | 영국 (14), 러시아 (9) |
| 중수 | 29 | CANDU, PHWR | 캐나다 (17), 대한민국 (4), 루마니아 (2), 중국 (2), 인도 (18), 아르헨티나, 파키스탄 |
| 경수 | 359 | PWR, BWR | 27개국 |
3. 1. 경수 (H₂O)
경수(H₂O)는 일반적인 물을 가리키며, 수소 원자가 중성자 감속 역할을 한다. 가압 경수로(PWR)와 비등수형 원자로(BWR)에서 감속재 및 냉각재로 사용된다.[9] 경수는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높은 비열을 가지고 있어 냉각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핵연료로 농축 우라늄을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10] 대한민국의 주력 원자로인 가압 경수로는 경수를 감속재와 냉각재로 사용하여 효율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3. 2. 중수 (D₂O)
중수소(²H)로 이루어진 물(D₂O)은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매우 작아 천연 우라늄을 핵연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가압 중수로(CANDU)에서는 중수를 감속재 및 냉각재로 사용한다.[9]중수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핵연료 주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경수에 비해 생산 비용이 비싸고, 삼중수소 생성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월성 원자력 발전소에서 가압 중수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하여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활용하고 있다.
3. 3. 흑연 (C)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흑연은 중성자 감속 능력이 뛰어나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특징을 보인다.[7] 흑연은 RBMK, 고온 가스로(HTGR) 등에서 감속재로 사용된다. 흑연 감속재는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작아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7] 반면, 고온에서 공기나 물과 반응할 수 있고, 위그너 에너지 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8]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흑연 감속로의 안전 문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사고는 흑연 감속로의 위험성을 드러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사고를 통해 보다 안전한 원자로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흑연 감속재를 사용하는 원자로는 흑연로라고 불리며, 다음과 같은 노형이 있다.
- 가스 냉각로(GCR)
- 개량형 가스 냉각로(AGR)
- 고온 가스 냉각로(HTGR)
- 흑연 감속 비등수 냉각형 원자로(RBMK)
- 흑연 감속 가압 경수 냉각형 원자로
흑연은 연구용 원자로에서 약 2000K 이상으로 가열되어 고온 중성자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통해 더 높은 에너지의 중성자를 생성하도록 한다.
3. 4. 기타 감속재
- 베릴륨(Be)
베릴륨은 금속 형태로, 중성자 반사체로도 사용되지만, 가격이 비싸고 독성이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23][24]
- 리튬(Li)-7
리튬-7은 플루오린화 리튬(LiF) 염 형태로, 플루오린화 베릴륨(BeF2) 염 (FLiBe|에프엘아이비이영어)과 함께 용융염 원자로(MSR)에서 가장 일반적인 감속재로 사용된다.
4. 원자로 유형별 감속재
원자로는 핵분열 시 발생하는 중성자의 속도를 줄여 핵분열 반응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감속재를 사용한다. 원자로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감속재는 다음과 같다.
- 경수로 (LWR): 경수(일반적인 물)를 감속재 및 냉각재로 사용하며, 농축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다. 가압 경수로(PWR)와 비등수형 원자로(BWR)가 대표적이다.
- 중수로 (HWR): 중수를 감속재 및 냉각재로 사용하며,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CANDU 원자로가 대표적이다.
- 흑연로: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하며,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AGR, Magnox, RBMK 등이 있다.
- 고속 중성자로: 감속재를 사용하지 않고, 고속 중성자를 직접 핵분열에 이용한다.
CANDU 원자로는 저온, 저압의 중수 탱크가 감속재와 열 싱크(heat sink)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안전성을 높인다. 반면, 경수로에서는 냉각재 상실 사고 시 감속재도 함께 손실되어 반응이 중단되는 안전 기능(음의 보이드 계수)이 있다.
베릴륨과 원자로 등급의 중수는 매우 비싼 감속재이다. 원자로 등급의 중수는 비농축 우라늄과의 반응을 위해 99.75%의 순도를 가져야 한다. 중수와 일반 물은 거의 동일한 화학 결합을 형성하지만 약간 다른 속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다.
경수 감속재(매우 순수한 일반 물)는 비농축 천연 우라늄과 함께 사용하기에는 중성자를 너무 많이 흡수하므로, 우라늄 농축 또는 핵연료 재처리가 필요하여 전체 비용이 증가한다.
4. 1. 경수로 (LWR)
경수(輕水)는 일반적인 물(H₂O)을 의미하며, 중수로와 대비되는 용어이다. 경수로는 경수를 감속재 및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이다.경수로에는 가압 경수로(PWR), 비등수형 원자로(BWR), 러시아형 가압수형 원자로(VVER), 한국 표준형 원전(KSNP)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원자로 유형으로, 27개국에서 359기의 경수로가 가동 중이다.[9]
경수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프로튬은 중성자 포획에 대한 상당한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너무 많은 중성자를 잃지 않고는 제한적인 감속만 가능하다.
- 덜 감속된 중성자는 우라늄-238에 포획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고 우라늄-235를 핵분열시킬 가능성은 더 낮다.
- 따라서 경수로를 작동하려면 농축 우라늄이 필요하다.
가압 경수로(PWR)에서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감속재도 손실되고 반응이 중단된다. 이 음의 보이드 계수는 이러한 원자로의 중요한 안전 기능이다.[9]
4. 2. 중수로 (HWR)
Heavy water reactors, HWR영어는 중수를 감속재 및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이다.CANDU 원자로는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하며, 가압 중수 냉각 채널을 둘러싸는 별도의 중수 회로에 위치한다. 중수는 상당 부분의 중성자를 의 공명 적분까지 감속시켜, CANDU 연료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이 동위원소의 중성자 포획을 증가시키므로 핵분열에 사용할 수 있는 중성자의 양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중수의 일부를 제거하면 반응성이 증가하여 너무 적은 감속이 제공되어 반응이 계속될 수 없을 때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설계는 CANDU 원자로에 양의 보이드 계수를 제공하지만, 중수 감속 시스템의 더 느린 중성자 운동학이 이를 보상하여 가압 경수로(PWR)과 비슷한 안전성을 제공한다.[9]
중수로 감속 원자로는 농축되지 않은 천연 우라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감속재 | 원자로 수 | 설계 | 국가 |
|---|---|---|---|
| 중수 | 29 | CANDU, PHWR | 캐나다 (17), 대한민국 (4), 루마니아 (2), 중국 (2), 인도 (18), 아르헨티나, 파키스탄 |
4. 3. 흑연로 (Graphite Moderated Reactor)
흑연은 중수소와 함께 중성자 감속재로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이다. 흑연 감속로는 원자로 등급의 흑연[7] 또는 열분해 탄소 형태로 사용되며, 마그녹스 원자로(GCR), 개량형 가스 냉각로(AGR), 고온 가스로(HTGR), 흑연 감속 비등수 냉각형 원자로(RBMK) 등이 있다.흑연 감속로는 농축되지 않은 천연 우라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 원자로 수 | 설계 | 국가 |
|---|---|---|
| 25 | AGR, Magnox, RBMK | 영국 (14), 러시아 (9) |
4. 4. 고속 중성자로 (Fast Neutron Reactor)
고속 원자로는 감속재를 사용하지 않고 감속되지 않은 고속 중성자에 의해 생성된 핵분열을 이용하여 연쇄 반응을 유지한다.[7] 일부 고속 원자로 설계에서는 최대 20%의 분열이 열 중성자에서는 핵분열성이 전혀 없는 동위원소인 우라늄-238의 직접적인 고속 중성자 분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감속재 | 원자로 수 | 설계 | 국가 |
|---|---|---|---|
| 없음 (고속) | 2 | BN-600, BN-800 | 러시아 (2) |
| 흑연 | 25 | AGR, Magnox, RBMK | 영국 (14), 러시아 (9) |
| 중수 | 29 | CANDU, PHWR | 캐나다 (17), 대한민국 (4), 루마니아 (2), 중국 (2), 인도 (18), 아르헨티나, 파키스탄 |
| 경수 | 359 | PWR, BWR | 27개국 |
5. 한국 원자력 발전과 감속재
한국은 가압 경수로와 가압 중수로(PHWR)를 중심으로 원자력 발전을 운영하고 있다. 가압 경수로(PWR)는 경수를, 가압 중수로(PHWR)는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한다.[9] 한국은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자로 운영 경험을 축적해 왔다.
더불어민주당은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감속재 기술 개발을 포함한 원자력 안전 기술 고도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6. 핵무기 설계와 감속재 (참고)
초기 핵무기 설계에서는 핵분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중성자 감속재를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었다.[11]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닐스 보어는 흑연 감속재를 사용하면 동위원소 분리 없이 연쇄 반응을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4] 우라늄 중수소화물을 핵분열성 물질로 사용하는 방안도 고려되었다.[12][13]
그러나 맨해튼 계획은 순수한 금속 우라늄 또는 플루토늄에서 빠른 중성자의 연쇄 반응을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히로시마 원자 폭탄 투하 이후, 독일 핵 프로그램 과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핵무기가 "많은 충돌을 통해 중성자의 속도를 늦춘 원자로와 같은 것"이라고 추측했다.[15]
업숏-노트홀 작전의 ''루스''와 ''레이'' 실험에서는 우라늄이 포함된 중수소화 폴리에틸렌을 사용했다.[16] 중수소가 압축되면 융합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열핵 연료의 후보로 고려되었다.[17] 코어는 우라늄 중수소화물(UD3)[17]과 중수소화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구성되었고, 중수소가 중성자 감속재로 작용했다.[18] 그러나 두 실험 모두 불발로 간주되었다.[12][13]
핵 폭발에 감속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
- 감속재가 가열되어 중성자를 냉각시키는 능력을 잃는다.
- 후속 중성자 세대 사이의 시간이 증가하여 반응 속도가 느려진다.
- 폭발의 억제가 어려워진다.
하이젠베르크는 "느린 중성자로는 폭발물을 만들 수 없고, 중수 기계로도 만들 수 없는데, 그러면 중성자는 열 속도로만 이동하며, 그 결과 반응이 너무 느려서 반응이 완료되기 전에 폭발한다"고 말했다.[20]
결과적으로, 현대 무기 설계에서는 대부분 감속재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중성자 반사체로 사용되는 베릴륨 템퍼는 감속재 역할을 할 수 있다.[21][22]
참조
[1]
서적
Living in the Environment: Principles, Connections, and Solutions
The Thomson Corporation
[2]
서적
Nuclear and Radio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
[3]
서적
Structure of Materials: An Introduction to Crystallography, Diffraction and Symmet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4]
서적
Nuclear reactor physics
https://books.google[...]
Wiley-VCH
[5]
서적
Neutrons and Solid State Physics
Ellis Horwood Limited
[6]
간행물
Neutron scattering lengths and cross sections
http://www.ncnr.nist[...]
Neutron News
[7]
논문
Spatial variability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ilsocarbon
https://www.research[...]
[8]
논문
Characterisation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material properties of Gilsocarbon and NBG-18 using random fields
https://www.research[...]
[9]
간행물
Power Reactor Safety Comparison - a Limited Review
http://www.nuclearfa[...]
Proceedings of the CNS Annual Conference
2009-06
[10]
Citation
Memorial Tributes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Press
[11]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Frequently Asked Questions - 8.2.1 Early Research on Fusion Weapons
http://nuclearweapon[...]
[12]
웹사이트
Operation Upshot–Knothole
http://nuclearweapon[...]
[13]
웹사이트
W48
http://www.globalsec[...]
[14]
웹사이트
Atomic Bomb Chronology: 1942-1944
http://www.ask.ne.jp[...]
2008-12-16
[15]
Physics Today
Hans Bethe
http://www.nd.edu/~n[...]
[16]
서적
Brotherhood of the Bomb
https://archive.org/[...]
2003
[17]
서적
Swords of Armageddon
http://www.uscoldwar[...]
1995
[18]
서적
Swords of Armageddon
http://www.uscoldwar[...]
1995
[19]
서적
Swords of Armageddon
http://www.uscoldwar[...]
1995
[20]
서적
Heisenberg and the Nazi Atomic Bomb Project: A Study in German Cult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Frequently Asked Questions - 4.1.7.3.2 Reflectors
http://nuclearweapon[...]
[22]
웹사이트
N Moderation
http://unintentional[...]
[23]
웹사이트
Marine Nuclear Power: 1939 – 2018, Part 2A: United States - Submarines
https://lynceans.org[...]
2018-07
[24]
웹사이트
Naval Reactors Physics Handbook: The physics of intermediate spectrum ractors, edited by J.R. Stehn
https://books.google[...]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